반응형

#6_[ModelSim] 프로젝트 소스파일을 Edit 또는 더블클릭 시 메모장이 열리는 현상 문제해결

 

6단계로 이루어진 모델심 프로젝트 소스파일을 Edit 또는 더블클릭 시 메모장이 열리는 현상 문제해결

 

 

본 게시물은 ModelSim 프로젝트 소스파일이 열리는 과정에서 메모장이 나타나는 현상에 대해 

실제로 진행하여 문제 해결하면서 작성하였습니다.

 

(작성일 기준 : 2019.10.21)

 

 


 

 

< 개발 환경 >

CPU : E3-1231 v3 3.40GHz (8 CPUs)

RAM : 24GB

OS : Windows 10 Pro 64bit

Tool : ModelSim PE Student Edition 10.4a

 

 


 

 

 

1. 프로젝트 소스 파일을 클릭 시 다음과 같은 현상이 나타남

​- 사용할 앱을 선택하거나, 메모장이 뜨는 현상이 나옵니다.

​- 옛 개발도구라서 이러한 부분은 고려하지 않은거 같습니다.

 



 

 


 

 

 

2. 새로운 소스 파일 생성

​- 1~4번 과정을 거쳐 새로운 소스 파일을 생성합니다.

 

 

 


 

 

 

3. 새로 추가된 파일 저장

​- 1번에 보시면 새로운 파일명이 나타납니다.

- 2번은 아무 내용을 적으세요.

- "Alt+S" 누르거나 저장 버튼을 누르시면 "Save as" 팝업이 뜹니다.

- 3번은 파일명을 저장합니다. Verilog 파일이므로 뒤에 확장자명은 .v 로 하겠습니다.

- 4번은 저장

 

  

 


 

 

 

4-1. 저장된 파일 불러오기

​- 1번은 프로젝트 소스파일 리스트에서 허공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합니다.

- 2~3번으로 통해 외부 파일을 로드하는 메뉴입니다.

 

 

  

 


 

 

 

4-2. 저장된 파일 불러오기

​- 1번에서 팝업이 뜹니다.

- 2번에서 외부 파일을 불러오기 위해 클릭하여 3번과 같이 팝업이 뜹니다.

- 4번은 저장한 파일을 선택하여 5번 열기 버튼을 눌러 6번에 불러올 파일에 대한 경로를 확인합니다.

- 확인 후 7번인 OK 버튼을 눌러 저장된 파일을 불러옵니다.

 

 

  

 


 

 

 

5. 불러온 파일 더블클릭 또는 Edit

​- 1번을 보시면 추가된 파일이 나타납니다.

-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 또는 Edit을 누르시면 2번과 같이 ModelSim 안에 에디팅 창이 나타납니다.

 

  

 


 

 

 

6. 다른 소스 파일 에디팅 창 확인

​- 1번은 모든 소스 파일들을 더블클릭 또는 Edit을 누르면 2번과 같이 소스파일들이 탭으로 추가되면서 에디팅 창이 각각 나타나게 됩니다.

- 이로써 메모장이 나타나는 현상은 해결하였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오타 및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5 [ModelSim] 프로젝트 생성, 에디팅, 컴파일, 시뮬레이트

 

15단계로 이루어진 ModelSim 개발도구기반 프로젝트 생성, 에디팅, 컴파일, 시뮬레이트

 

본 게시물은 프로젝트 생성, 에디팅, 컴파일, 시뮬레이트 

과정을 실제로 진행하면서 작성하였습니다.

 

(작성 기준 : 2019.09.23)

 

(게시 확인 : 2023.01.04)

 


 

< 개발 환경 >

CPU : E3-1231 v3 3.40GHz (8 CPUs)

RAM : 24GB

OS : Windows 10 Pro 64bit

Tool : ModelSim PE Student Edition 10.4a

 


 

1. 프로젝트 생성 메뉴 선택

​- 개발도구 맨 상단 메뉴 중 File 선택하여 New -> Project 클릭 


 

2. 프로젝트 생성

​- Project 이름 입력 후 확인 버튼 클릭 


 

3. 프로젝트 생성 확인 및 Editing 파일 생성 메뉴

​- 입력한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확인한 다음, Editing 파일 생성 메뉴 선택 


 

4. Verilog 파일 설정 및 생성

​- Editing 파일 생성 메뉴를 선택 시 파일을 설정할 수 있는 창이 뜸 

- Add file as type 은 Verilog 로 선택하고 파일 이름을 입력하여 확인 버튼 클릭


 

5. 생성된 Verilog 파일 확인 밎 에디팅

​- 왼쪽에 프로젝트 탐색기 영역에 생성된 Verilog 파일 확인 (Verilog 확장자는 .v 이다)
- 에디팅은 해당 파일을 더블 클릭 또는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Edit 선택하면 영역이 나옴


 

6. Verilog 파일 추가 생성

​- 파일을 추가적으로 생성할 경우 프로젝트 탐색기 영역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Add to Project 를 선택하여 New File 를 선택

"4. Verilog 파일 설정 및 생성" 과 같은 화면이 나타나므로 참고하길 바람


 

7. 추가적으로 생성된 Verilog 파일 확인


 

8. 각 Verilog 파일마다 에디팅

​- Verilog 소스는 3가지로 작성하였으며, 해당 파일에 맞게 작성 바람

- 아래 소스 중 test_stimulus 인데 test_simulus 오타가 있지만 시뮬레이트에 문제없음




 

9. 에디팅 주의사항

​- 파일 에디팅 시 저장을 자주해야 합니다.

- 그 이유는, 개발도구가 최적화 및 인터페이스가 좋지 않습니다.

- 버벅임은 기본이고 Visual Studio 개발도구는 에디팅한 파일을 따로 저장하지 않고 바로 디버깅 또는 릴리즈로 동작 시 파일이 자동적으로 저장되지만 ModelSim은 저장된 파일만 컴파일을 하기 때문에 저장을 자주해주어야 합니다.

- 그리고 프로그램이 꺼지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10. 컴파일

​- 프로젝트 탐색기에 Status에 "?" 표시는 현재 컴파일이 되지 않은 상태

- 프로젝트 탐색기 영역에 오른쪽 마우스를 클릭하여 Compile -> Compile All 선택하면 생성된 Verilog 파일들을 컴파일함

- 특정 파일만 컴파일을 하고 싶다면 Compile Selected 선택하길 바람


 

11. 컴파일 시 에러 발생하는 경우

​- 에러가 발생된 경우 프로젝트 탐색기에서 컴파일이 완료된 파일은 체크 모양으로 나타나고, 에러 또는 실패한 경우 X 모양으로 나타남

- 해당 에러가 발생되는 원인을 알고 싶다면 맨 하단에 에러 개수와 발생된 파일에 대해 출력

- 출력된 문자열을 더블 클릭하면 에러창이 나타나고, 에러 발생된 파일명과 그 파일에서 몇번째 라인에서 에러가 나타나는지 알려줌


 

12. 컴파일이 완료한 경우

​- 컴파일이 모두 완료된 상태를 확인하고, Wave 시뮬레이트를 실행함

맨 상단 메뉴 중 Simulate -> Start Simulation 메뉴 선택

- 또는 아래 사진과 같이 3번의 아이콘을 찾아 클릭하면 시뮬레이트를 실행


 

13. 시뮬레이트 실행

​- 시뮬레이트 창이 나타나면서, 실행할 파일을 선택

Work -> test_top 을 선택하여 확인 버튼 클릭함


 

14. Wave 창이 보이지 않는 경우

​- 맨 상단 메뉴 중 View 선택하여 Wave를 선택


 

15. 시뮬레이트 동작

​- 아래 그림과 같이 맨 왼쪽에 위치한 sim 영역에서 1번인 test_top 을 선택하여, 마우스 드래그로 Wave 창에 끌어옮기면 Object 들이 나타남

- 작성된 3개의 파일을 동작시키기 위해 2번인 아이콘을 클릭하여, 다시 Wave를 선택(3번)하여 출력된 파형을 확인함(4번)

- 시뮬레이트 종료를 원한다면, 맨 상단 Simulate -> End Simulation 선택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오타 및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4 ModelSim PE Student Edition 10.4a 개발도구 설치

 

18단계로 이루어진 ModelSim PE Student Edition 10.4a 개발도구 설치 방법

 

본 게시물은 실제로 설치 과정을 진행하면서 작성하였습니다.

 

(작성 기준 : 2019.09.18)

 


 

 

< 개발 환경 >

CPU : E3-1231 v3 3.40GHz (8 CPUs)

RAM : 24GB

OS : Windows 10 Pro 64bit

 

 


 

 

1. 공식홈페이지 접속 후 설치 파일 다운로드

https://www.mentor.com/company/higher_ed/modelsim-student-edition

 

 

 

 

 


 

 

2. 설치 파일을 받기 위해서 간단한 정보 입력(이메일 정확하게)


 

 


 

 

3. 라이선스 관한 동의

 

 

 


 

 

4. 설치 파일 다운로드 메일 확인

 

 

 

 


 

 

5. 메일 내용 중 해당 링크 클릭

 

 

 

 


 

 

6. ModelSim 설치 파일 다운로드

 

 

 

 


 

 

7. ModelSim 설치 파일 실행

 

 

 

 


 

 

8. 설치 과정

 


 

 


 

 

9. 설치 완료

- 설치 완료 시 인터넷 창이 새창으로 뜸(닫지 말 것)

- 닫은 경우, 다시 설치하시길 바람

 

 

 


 

 

10. 새창으로 뜬 인터넷 페이지에 간단한 정보 입력(이메일 정확하게)

- ModelSim 라이선스 파일을 받기 위함

 

 

 

 


 

 

11. 간단하게 입력 후 라이선스 요청 버튼 클릭

 

 

 


 

 

12. 라이선스 파일을 입력한 이메일 주소로 보냈다고 함

 

 

 


 

 

13. 라이선스에 관한 메일 수신

 

 

 


 

 

14. 해당 메일에 첨부된 라이선스 파일 다운로드

 

 

 


 

 

15. ModelSim 설치된 경로로 이동 후 다운로드한 라이선스 파일을 복사/붙여넣기

 

 

 


 

 

16. 바탕화면 ModelSim PE Student Edition 실행

- 바탕화면에 없는 경우, 윈도우 키 또는 맨하단 7시 방향에 시작에서 ModelSim 검색하기

 

 

 


 

 

17. 메시지 무시 확인

 

 

 


 

 

18. 개발도구 설치 완료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오타 및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ISE 14.7 Design Suite 개발도구 FPGA 업로드 방법 "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천천히 따라하시면 업로드를 할 수 있습니다

VHDL 이나 VerilogHDL 로 통해 작성된 파일을

.bit 인 파일로 비트스트림을 만듭니다.

"Generate Programming File"

 

 

초록색 체크가 뜨면 .bit 파일이 만들어집니다.

 

그 다음

FPGA를 인식하기 위해 다른 개발도구를 더블클릭 합니다.

"Manage Configuration Project (iMPACT)"

 

 

ISE iMPACT 도구가 열게 됩니다.

FPGA 를 인식하기 위해 "Boundary Scan" 을 더블클릭합니다.

 

 

더블클릭하면 옆 윈도우 창이 짙은 회색이 하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 하얀 윈도우창에 오른쪽 클릭을 합니다.

클릭하면

"Cable Auto Connect"

를 클릭하여 케이블 포트를 인식합니다.

 

 

성공하게 되면 밑에

"Console"

에서 케이블 드라이버를 확인하고 연결된걸 볼 수 있습니다.

 

 

다시 하얀 윈도우창에 오른쪽 클릭을 하여

케이블 포트에 연결된 FPGA를 인식합니다.

"Initialize Chain"

 

※ 1 ※

"Cable Auto Connect" 생략하고 바로 

"Initialize Chain"을 하더라도

자동으로 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연결된 포트로 통해 FPGA를 인식된 걸 볼 수 있습니다.

XCF32P 는 PROM

XC3S2000 는 FPGA 칩

 

 

FPGA를 인식 후에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뜨게 됩니다.

 

첫번째 창은 XCF32P 의 파일 선택입니다.

"Bypass"

를 클릭합니다.

 

※ 2 ※

만약, 취소를 하였더라도 "Bypass" 로 인식합니다.

 

※ 3 ※

파일을 선택하고 싶을 경우 XCF32P 의 네모난 칩을 오른쪽 클릭하여

"Assign new configuration file..." 선택하면

파일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을 볼 수 있습니다.

 

 

두번째 창은 XC3S2000 의 파일 선택입니다.

처음에 진행했던 만든 .bit 을 선택합니다.

 

※ 4 ※

왜?

하나는 "Bypass", 하나는 파일 선택 후 "Open"

XCF32P 는 PROM 이므로 비휘발성 메모리 입니다.

즉, 전원을 OFF 하더라도 업로드한 프로그램이 날아가지 않죠.

XC3S2000 은 휘발성이기 때문에,

전원을 OFF 하면 업로드한 프로그램이 날아가게 됩니다.

간단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 PROM 에 업로드 하지 않겠습니다.

 

 

파일을 선택 후 FPGA 칩 그림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 후 업로드를 합니다!!

"Program"

 

 

"Program" 누를 시 업로드 진행중을 볼 수 있습니다.

 

 

업로드 성공시

"Program Succeeded"

파랑색바탕으로 문구가 뜨게 됩니다.

 

 

업로드 실패시

"Program Failed"

빨강색바탕으로 문구가 뜨게 됩니다.

 

※ 5 ※

실패하는 이유는 여러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1. FPGA 전원 OFF 인 경우

2. .bit 파일이 없는 경우

(파일 경로 중 한글 폴더에 속해 있거나 한글인 경우 불러오기 실패)

3. 케이블 포트(LPT or USB) 설정하지 않은 경우

4. 핀 할당이 잘못된 경우

5. 기타...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오타 및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홈페이지는 https://blog.naver.com/dnjsaks92

동일인 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 #2 Xilinx ISE 14.7 Design Suite 개발도구 호환성 문제 및 해결 "

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자일링스(xilinx) ISE 14.7 Design Suite 개발도구의

지원하는 운영체제

https://manbedded.tistory.com/1

 

이전 글에서 언급하였습니다.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Windows 10 64bit 의 운영체제로 ISE 14.7 Design Suite 를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처음에 ISE 14.7 설치하고 개발도구 기능 확인하는데

개발도구가 종료되거나 아무렇지 않는 상태를 볼 수 있었습니다.


ISE 14.7 개발도구가 해당 운영체제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에러 현상을 볼 수 있었습니다.

즉, 호환성문제이죠.


이 문제점에 대해서 네이버보단 구글에 키워드를 치고 검색했죠.

" ISE for windows 10 "

이미 ISE 개발도구를 사용하는 개발자분들이

호환성에 대해서 많은 질문한 글들이 수두룩 했습니다.

 

물론 해결된 점도 있었죠.

해결하는데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굉.장.히 간단했습니다.

단지 파일이름만 바꿔주는거?


ISE Project Navigator, iMPACT, PlanAhead

개발도구를 사용하기위해 2번의 작업과 반복해야 불편함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첫번째로,

C:\Xilinx\14.7\ISE_DS\ISE\lib\nt64

ISE 개발도구 설치한 경로로 타고가서

" libPortability.dll " 을 찾습니다. 일일이 보면서 찾아도 되지만,

Ctrl + F 누르든 상단에 오른쪽에 검색하는 부분에 검색하시면 금방 찾을 수 있습니다.

 

해당 파일을 찾으셨으면,

" libPortability.dll " 과 " libPortabilityNOSH.dll " 있습니다.

" libPortability.dll " → " libPortability.dll.orig " 변경

" libPortabilityNOSH.dll " → " libPortability.dll " 변경

 ISE Project Navigator, iMPACT

불편함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C:\Xilinx\14.7\ISE_DS\PlanAhead\bin

경로로 타고가서 " rdiArgs.bat " 을 찾습니다.

파일이 몇개 없기때문에 금방 찾을 수 있을 겁니다.

 

파일 이름을 변경하기전 ISE 파일 .bat를 받아야 합니다.

 

Guide : Getting Xilinx ISE to work with Windows 8 / Windows 10 (64-bit)

URL : http://www.eevblog.com/forum/microcontrollers/guide-getting-xilinx-ise-to-work-with-windows-8-64-bit/ 

 

해당 URL에 들어가시면 밑에 첨부파일을 볼 수 있습니다.

영어로 된 설명을 자세히 볼 수도 있습니다.

 

다운로드가 되지 않을 경우, 따로 파일 올려드립니다.

첨부파일 확인해주세요!!!

 

압축을 풀기 전

C:\Xilinx\14.7\ISE_DS\PlanAhead\bin 경로에 있는

" rdiArgs.bat " → " rdiArgs.bat.orig " 변경

 

다운받은 알집을 C:\Xilinx\14.7\ISE_DS\PlanAhead\bin 경로에 풀어줍니다.

" rdiArgs.bat "

 

 

불편함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orig 확장자는 아무 의미없습니다.

그냥 original 이라는 표시하고자 .orig 를 표시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오타 및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홈페이지는 https://blog.naver.com/dnjsaks92

동일인 입니다.

 

반응형
반응형

 

 

자일링스(Xilinx) ISE Design Suite 14.7 개발도구 설치하기전 "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ISE 14.7 이라고도 하고,

Xilinx ISE 14.7 이라기도 하고,

자일링스 개발도구 라기도 하죠.


ISE Design Suite 14.7 개발도구 설치하기전에

사용하고 있는 FPGA 모델운영체제

 따라 개발도구가 달라집니다.

 

 

이 표는 FPGA 칩 모델명에 따라

WebPACK Tool 인가.

ISE Design Tool 인가.

달라집니다. 

"Spartan-x" 은

위에 그림보면 FPGA 모델명을 볼 수 있습니다.

XC3S1000 은 Spartan-3 입니다.

 

Spartan-3A 라면 XC3S1000A

뒤에 A 가 붙습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FPGA 는 XC3S2000 이므로 Spartan-3 FPGAs 에 속하며,

 "ISE Design Suite Tool" 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지원 가능한 운영체제입니다.

 

리눅스인가.

윈도우인가.


현재 저는 윈도우 10 입니다.

하지만 윈도우 7 까지 지원 가능하군요.

 

다음 장에는 ISE Design Suite 14.7 호환성에 대해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잘못된 정보나 오타 및 수정사항이 있을 경우 댓글로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네이버 블로그 홈페이지는 https://blog.naver.com/dnjsaks92

 

동일인 입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